[사진자료] 2017 '게임과몰입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국제 심포지엄(2017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Various Views on Internet Gaming Disorder') >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KO EN

자료실

[사진자료] 2017 '게임과몰입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국제 심포지엄(2017 The Internatio…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게임문화재단 조회 10,853회 작성일 17-12-06 15:11

본문

개요

o 명칭 : 2017 ‘게임과몰입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국제 심포지엄

o 목적

-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게임과몰입 진단 기준마련을 위해 국내외 학자들이 참여하는

   토론형식의 국제 심포지엄 개최

- 국제 심포지엄을 밑바탕으로 2018년 보건복지부 게임중독 질병코드화 계획과 관련하여

   국내외 학계가 공동연구를 진행하여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결론 도출 예정 

o 일시 : 2017. 11. 2(), 14:00 17:00

o 장소 : 국립중앙도서관 국제회의장

o 주관 : ()게임문화재단

o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o 참석대상 : 정신과 의사 및 상담사(100여명), 국회의원, 미디어, 유관 부처 및 기관,

                   게임사, 학부모, 교사 등 200명 내외

주요내용

o 프로그램

구분

시간

내용

비고

13:0014:00

등록 및 접수

1

연사

발표

14:0014:10

환영사 및 축사

사회 : 안병도

(게임산업협회 연구원)

14:1014:30

The DSM-5 concept of Internet gaming disorder.

(DSM-5에 따른 게임과몰입의 개념)

Meredith Ginley

(메레디스 긴리)

14:3014:50

Will the ICD-11 gaming disorder proposal over-diagnose gamers and create moral panics?

(ICD-11의 게임과몰입 제안이 게임 이용자들을 과잉 진단하고 도덕적 공황을 낳을 것인가?)

Joel Billieux

(요엘 빌리외)

14:5015:10

Issues, concerns, and recommendation of internet gaming disorder in DSM-5 and ICD-11.

(DSM-5ICD-11의 게임과몰입에 대한 이슈와 우려, 그리고 제언)

Mark Griffiths

(마크 그리피스)

15:1015:30

Debate on ICD-11 Gaming Disorder proposal

(ICD-11의 게임과몰입 제안에 대한 토론)

Philip Tam

(필립 탐)

15:3015:45

쉬는 시간

2

패널

토론

15:4516:00

Discussion points : Conceptualisation of problematic gaming

(토론 요점 : 문제가 있는 게임의 개념화)

Vladan Starcevic

(블라단 스타서빅)

16:0016:45

참가자 토론

메레디스 긴리, 요엘 빌리외, 마크 그리피스, 필립 탐, 로렌스 램, 한덕현

참가자

16:4517:00

종합 Q&A

o 진행내용

- 게임과몰입 이슈에 대한 편견 없는 학술논의, 기존 진단 기준의 장단점 토론 및 향후 중립적 공동 연구방향 모색 등


현장사진

1009527647.png








게임문화재단
06665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114, 2층 TEL 1577-0208 FAX 02-586-3559
Copyright ⓒ GAMECULTURE.OR.KR. All Rights Reserved.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물관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