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문화재단, 게임문화 심포지엄 개최 > 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KO EN

보도자료

게임문화재단, 게임문화 심포지엄 개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 12,892회 작성일 12-02-20 00:00

본문


게임문화재단, 게임문화 심포지엄 개최



 

-21일(화) 오후 2시 엘타워 라벤더 홀

-게임의 의미를 사회문화적, 매체적, 교육적, 정책적 방향에서 다각도로 재조명


 

게임문화재단(이사장 김종민)이 2월 21일(화) 오후 2시부터 5시 30분까지 엘타워 라벤더 홀에서 게임의 사회적 문화적 위상 제고를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사)문화사회연구소(이사장 원용진)가 함께 주관한다.

 

이번 게임문화심포지엄에서는 게임의 의미와 가치를 사회문화적 접근, 매체적 접근, 교육공학적 접근, 문화정책적 접근을 통해 재 조명한다. 게임이 일상의 문화로 자리 잡았지만 아직도 게임 문화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나 이해는 초보 단계라는 점을 인식하고, 게임이 다른 문화예술 장르처럼 문화 활동의 영역으로 인정 받는 계기를 마련 하자는 취지다.

 

원용진 서강대 언론정보학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되며 정소연 문화연대 대안문화센터 팀장, 박근서 대구가톨릭대 언론광고학부 교수, 이동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박태순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겸임교수가 각 발제의 발표자로 나선다.

 

‘새로운 게임문화정책을 위한 제언 - 셧다운제 이후 청소년의 게임 이용 실태’, ‘SNS 혁명과 게임 환경의 변화’, ‘게임은 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 미국 게임교육 공학 연구 사례’, ‘게임의 사회적 가치와 게임 문화연구의 미래’를 주제로 게임문화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할 예정이다.

 

이광석 서울과학기술대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와 윤태진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 박상우 연세대 겸임교수, 김상우 기술미학연구회 연구원은 각 발제의 토론자로 나선다.

 

게임문화재단 관계자는 “최근 학교폭력과 게임을 둘러싼 논란 등을 보면 일상의 문화로 자리잡은 게임에 비해 ‘게임문화’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이해가 아직 단편적인 수준인 것 같다”며 “게임이 갖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게임문화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정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 프로그램


시간

진행사항

주요내용

14:00~14:10

인사말

김종민 (게임문화재단 이사장)

최관호 (한국게임산업협회 회장)

사 회: 원용진 (서강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14:10~14:40

제1발제

-새로운 게임문화정책을 위한 제언

셧다운제 이후 청소년의 게임 이용실태를 중심으로

발표: 정소연 (문화연대 대안문화센터 팀장)

토론: 이광석 (서울과학기술대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

14:50~15:20

제2발제

-SNS 혁명과 게임 환경의 변화

발표: 박근서 (대구가톨릭대 언론광고학부 교수)

토론: 윤태진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

15:20~15:40

휴식

15:40~16:10

제3발제

-게임은 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미국의 게임교육 공학 연구 사례

발표: 이동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토론: 박상우 (연세대 겸임교수, 게임평론가)

16:10~16:40

제4발제

-게임의 사회적 가치와 게임 문화 연구의 미래

발표: 박태순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겸임교수)

토론: 김상우 (기술미학연구회 연구원,

前 게임등급위 등급위원)

16:40~17:30

종합토론

 

첨부파일


게임문화재단
06665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114, 2층 TEL 1577-0208 FAX 02-586-3559
Copyright ⓒ GAMECULTURE.OR.KR. All Rights Reserved.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물관리위원회